갯벌은 조절적 기능을 오염, 자연재해, 기후 등의 분야에서 발휘합니다. 인구가 증가하고 산업이 발달하면서 많은 오염 물질이 바다로 흘러들어 가는데, 이렇게 유입되는 오염 물질은 갯벌을 먼저 통과합니다. 유입된 오염 물질로 인해 바다에 식물성 플랑크톤의 번식을 가속화하는 무기영양염인 질산염, 인산염, 암모니아 등을 가진 자연수가 풍부해지면 결과적으로 생물의 순환체계를 악화시키는 부영양화가 됩니다. 갯벌은 이렇게 과잉 공급되는 영양염류나 오염물질을 흡수하여 정화하는 역할을 합니다. 즉 갯벌 생태계는 육지등 외부에서 오는 유기물을 분해하고, 분해된 무기영양염을 이용하여 높은 생산성을 유지합니다. 갯벌의 다양한 생물은 물속의 유기물과 영양염(질소, 인)을 섭취하여 갯벌의 수질을 정화하며, 상위 포식자에게 잡아먹혀 수질을 악화시키는 물질을 갯벌에서 제거하는 역할을 합니다. 그리고 갯벌은 육지와 바다가 접해있는 곳으로 급격한 변화를 완화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즉, 갯벌은 홍수량을 조절하여 인명 및 재산 피해를 줄이고, 태풍의 영향을 줄이는 완충제 구실을 하기도 합니다. 많은 양의 물을 품을 수 있기 때문에 순간적으로 많은 물이 유입되더라도 수위가 급하게 높아지지 않습니다. 습지는 해안 침식을 막고 조절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미국의 일부 주 정부에서는 태풍이나 허리케인 등으로 생기는 거센 파도를 줄이기 위하여 습지를 복원하고 있습니다. 습지를 구성하는 염생식물의 뿌리는 퇴적물을 고정하고 줄기나 잎은 파도 에너지를 흡수하여 강한 유속을 완화시킵니다. 특히 습지복원으로 해안 습지가 퇴적물을 쌓아 올리면 자연히 바닥이 높아지기 때문에 최근 지구 온난화로 해수면이 상승함으로써 일어나는 피해에 대한 효과적인 대비책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생물의 서식지 기능을합니다. 우리는 현재 대부분의 수산물을 연안에서 생산하여 얻습니다. 이는 갯벌이 바다의 생물에게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뜻합니다. 먼바다에 비해 물리적, 생물학적 환경이 아주 열악하지만, 영양분이 풍부하고 탁도가 높아 적으로부터 자기를 보호하기에 유리하여 많은 생물들은 상위 포식자를 피해 갯벌에서 포식활동을 하고, 번식을 합니다. 그 이유는 갯벌에 하구나 육상, 바다로부터 유기물이 흘러들어 가 바다의 어느 곳 보다도 영양분이 풍부하기 때문입니다. 갯벌은 어류, 작은 새우, 게를 위한 산란과 보육장의 구실을 함으로써 해양 생태계에 새로운 구성원이 될 유생을 키워 전체 해양 생태계의 안정성에 크게 기여합니다. 뿐만 아니라, 갯벌은 철새들의 중간 기착지로서 풍부한 먹이를 공급하고 휴식처 구실을 합니다. 그리하여 습지에 머물렀다가 떠나는 새들을 보호하기 위해서 '람사협약'이 만들어지기도 하였습니다. 1996년 환경부 조사에서는 어류 서식지로서 영종도는 연간 총생산액이 100억 원에 이른다고 합니다. 총생산액의 95퍼센트가 갯벌에 의존한다고 가정하면 영종도 갯벌의 서식지로서 가치는 95억 원에 달하고 이는 개발면적인 11126.2헥타르의 가치가 됩니다. 즉 1헥타르당 778만 원에 이릅니다. 홍보지구 갯벌 서식지도 1헥타르당 620만 원으로 계산할 수 있는데 두 지역의 어류 생산성은 연간 198억 원에 이른다고 합니다.
문화적 기능으로서 갯벌은 사람들의 생태적 흥미와 고유의 다양성 때문에 갯벌 생물이나 철새를 관찰하는 자연학습장의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서해 갯벌은 세계 5대 갯벌 중 하나로서 중요한 문화유산이라는 인식이 확산되고 잇으며, 휴식이나 관광 등의 레저공간으로 이용되고 있습니다. 최근 순천, 신안 등의 축제는 갯벌 주변의 보존 노력과 생태 관광 개발을 촉발시켰습니다. 사회문화적 측면에서 볼 때 이러한 축제는 오랫동안 갯벌에서 어업과 수산자원 채집으로 삶을 유지해 온 연안 공동체의 전통에 깊이 뿌리를 두고 있습니다. 이벤트에서 종종 갯벌스포츠, 해산물 시식, 전시회와 같은 전통 활동을 선보이며 지역주민과 방문객 모두가 이러한 전통에 참여할 수 있는 장을 만듭니다. 환경 교육과 문화축하의 결합은 인간의 삶과 자연 사이의 섬세한 균형에 대한 더 큰 관심을 불러일으킵니다. 문화적으로 이러한 행사는 과거의 전통과 현대의 보존 노력을 연결함으로써 한국의 정체성에서 갯벌의 중요성을 강화합니다. 또한 매년 수백만 명의 방문객을 끌어들이는 순천만과 같은 곳에서 볼 수 있듯이 지속 가능한 관광, 특히 생태 관광을 촉진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축제는 과거 산업화와 매립으로 인해 갯벌의 상당 부분이 손실되었던 위협을 상기시키는 역할도 합니다. 뿐만 아니라, 바다를 소재로 작품활동을 하는 작가들에게 작품의 소재를 제공해 주는 문화적 가치가 더욱 증대되고 있습니다. 이와 같은 갯벌의 문화적 가치는 갯벌생물의 다양성이 토대가 되므로 건강한 생태계가 유지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