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갯벌의 조절적 기능갯벌은 조절적 기능을 오염, 자연재해, 기후 등의 분야에서 발휘합니다. 인구가 증가하고 산업이 발달하면서 많은 오염 물질이 바다로 흘러들어 가는데, 이렇게 유입되는 오염 물질은 갯벌을 먼저 통과합니다. 유입된 오염 물질로 인해 바다에 식물성 플랑크톤의 번식을 가속화하는 무기영양염인 질산염, 인산염, 암모니아 등을 가진 자연수가 풍부해지면 결과적으로 생물의 순환체계를 악화시키는 부영양화가 됩니다. 갯벌은 이렇게 과잉 공급되는 영양염류나 오염물질을 흡수하여 정화하는 역할을 합니다. 즉 갯벌 생태계는 육지등 외부에서 오는 유기물을 분해하고, 분해된 무기영양염을 이용하여 높은 생산성을 유지합니다. 갯벌의 다양한 생물은 물속의 유기물과 영양염(질소, 인)을 섭취하여 갯벌의 수질을 정화하며, 상위..

갯벌의 구분갯벌의 구분 시 조간대는 밀물의 고조선(만 조선)과 썰물의 저조선(간조선)의 사이에 해당하는 부분을 말하며, 이를 기준으로 하여 세부적 환경으로 분류됩니다. 밀물과 썰물로 인한 고조선과 저조선의 위치는 대조 때와 소조 때가 많이 다릅니다. 이것의 1차적 요인은 조석차이로 인한 주기적인 수면변화입니다. 평균 고조선보다 더 높은 대조 때의 수면 도달지역을 조상 대라고 하며, 평균 저조선보다 더 아래의 대조 때의 저조선 부분과 내륙 쪽 대륙붕 연안 일부를 조하대라고 합니다. 이런 조석의 차이는 생물의 분포와 퇴적 환경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줍니다. 조간대에 보이는 생물군의 분포를 관찰하다 보면, 이들은 조위변동과 환경 요인의 영향으로 생물들의 서식영역이 단계적으로 나누어지는 대상구조를 나타내는 경..